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문화계 성추행 의혹 당사자들의 사과 방식 유감
[헤럴드경제=서병기 선임기자]성폭력 피해 여성들의 용기있는 고백이 이어지고 있다. 곳곳에서 나도 당했다는 사례들이 얼굴을 드러내고 있다. 이 사람들을 모자이크와 음성 변조를 하지 않고 자신의 얼굴로 당당하게 나오는 건 큰 진전이다.

검찰 내부에서 시작된 ‘#미투(Me Too)’ 운동이 스포츠계, 영화계, 방송계, 문학계 등 문화계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가해자로 지목된 사람들의 반응을 보면 미투 운동이 일시적이 아닌, 지속적으로 펼쳐져야 함을 알려준다.


최영미 시인이 ‘뉴스룸’에서 문단의 성폭력을 폭로하며 자신의 시 ‘괴물’에 등장하는 En선생을 ‘상습범’이라고 표현했다. 그리고 남자 선배 문인들의 성폭력에 ‘세련되지 못하게’ 거절하면 보복이 가해진다고 했다.

성추행 당사자로 지목된 고은 시은은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오늘날에 비추어 성희롱으로 규정된다면 뉘우친다”고 말했다. 자신의 행위가 성추행인지를 모르는 건지, 알면서 인정하고 싶지 않은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성희롱으로 규정된다면”이라는 표현을 쓴다는 것은 아직 사태의 심각성을 모르는 듯하다.

지난해 편집 PD를 성추행한 혐의로 대기발령 상태인 MBC 드라마 PD는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일에 대해 주변에 물어봤더니, 제가 평소 남녀구분 없이 쉽게 어깨나 등을 토닥거리거나 터치하는 습관이 있음을 깨달았고 깊이 반성합니다”라면서도 “하지만 이것이 지나치게 과장되고 왜곡되어서 제 인생이 망가질 정도의 잘못인지는 잘 헤아려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둘 다 진정한 사과라고 보기 어렵다. 사과속에 담긴 불감증이 오히려 더 무섭다. 가해자로 지목되고도 이 정도의 반응이라면 은밀히 자행되는 수많은 고질적인 성추행들은 그냥 넘어가기 쉽다. 그냥 넘어간다는 건 성추행을 계속 해도 된다는 논리를 가해자들에게 심어준다. 하지만 SBS 스페셜에서는 밝혔듯이, “침묵은 피해자를 도와주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성폭행 피해 사례를 공개적으로 밝히는 ‘미투’는 혼자서만 간직했던 깊숙한 곳의 상처를 꺼내야 한다. 그러면서 세상의 편견과 오해와 싸워야 한다. 당사자로서는 괴로운 일이다. 하지만 이제 그들을 ‘이상한 사람’이 아니라 ‘용기있는 사람’으로 바라보고 있다.

문화계 성폭력은 갑을관계에서 자행된다. 캐스팅 문제로 상의 할 게 있다면서 혼자 살고 있는 신인 여배우의 오피스텔로 찾아오는 PD를 거절할 방법이 없다.(이런 PD의 요구를 거절하다가는 연기력이나 배역과의 어울림 등의 이유로 캐스팅 되지 않았다고 할 것이다) 방송국 등 조직도 이를 막지 않은 ‘방조죄’가 있다. 성폭력 범죄에 대해 침묵하던 사회였다. ‘미투’ 운동은 이런 걸 덮지 않고 문제로 삼아 문화계를 제대로 만드는 작업이다.

/wp@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