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더 깊어진 청년 취업난, 발상전환해야 길이 보인다
문재인 대통령이 ‘국가 재난’ 수준이라고 했던 청년실업 문제가 쉽게 풀리지 않을 모양이다. 역대 정부가 숱한 대책을 내놓고 천문학적 예산을 쏟아부었지만 사정은 되레 뒷걸음이다. 지난해 청년 실업률은 9.9%로 역대 최악을 기록했다. 통계가 그렇지 실제로는 30%도 넘을지 모를 정도다. 지난 달 문 대통령이 청년일자리 점검회의를 주재하며 ‘특단의 대책’을 지시했지만 그렇다고 일조일석에 사정이 달라질 일도 아니다.

정작 문제는 최악을 치닫는 청년 취업난이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2차 에코세대가 대거 몰려오면서 취업 시장은 짧게는 3~4년에서 길게는 10년 가량 어느 때보다 찬바람이 일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누적 구직 희망자들이 여전히 남아있는 상태에서 신규 세대가 밀고 들어오니 경쟁은 더욱 가중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더 과감하고 발상전환적인 대책이 화급한 이유다.

통계청이 최근 내놓은 장래인구추계를 보면 전문가가 아니어도 앞으로 상황이 어떨지 짐작이 갈 것이다. 취업 희망군인 25~29세 청년층 인구는 2014년 326만명을 기점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해 2021년에는 367만명에 이른다. 특히 지난해와 올해, 또 내년 3년 동안은 매년 10만 명 내외로 확 불어난다. 그만큼 취업난이 심화된다는 얘기다. 최근 청년 취업이 유난히 어렵고 올해와 내년이 사상 유래없는 ‘취업 보릿고개’가 예상되는 것도 이같은 인구 추계에 기인하고 있다.

청년실업 해소는 사실상 국가적 어젠다가 됐다. 문 대통령의 지적처럼 젊은이들에게 일자리는 경제 그 이상이다. 꿈과 희망과 미래를 지켜주는 수단이다. 청년들의 절망이 깊어지면 우리사회의 활력이 살아날 수 없다.

고용대란의 파고를 넘어서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정부가 애를 쓰고는 있지만 문제를 풀어가는 데 한계가 있다. 기업이 투자를 늘리고 고용을 확대하면 좋겠지만 글로벌 경쟁에서 살아남기에도 힘이 부친다. 무엇보다 기업 친화적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최저임금 인상과 근로시간 단축 등 근로자에 기울어진 운동장에선 기업 활동이 위축될 수밖에 없다. 법인세 문제도 마찬가지다. 발상이 전환이 따르지 않으면 청년실업의 늪은 점점 더 깊어질 수밖에 없다.

창업 시장도 더 활기를 찾아야 한다. 실패가 전제되지 않은 창업 성공은 있을 수 없다. 창업 실패를 지원하는 사회안전망을 더 촘촘히 구축해야 한다. 정부와 함께 기업도 사회적 책임을 더 깊이 인식하고 청년 실업 해소방안을 찾아야 한다. 정부와 민간을 따질 게재가 아닌 듯싶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