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위기의 자영업, 그중에도 벼랑끝에 선 영세음식점
대표적인 서민 창업의 터전인 음식점ㆍ주점업에 드리운 먹구름이 심각하다.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혼술ㆍ혼밥 소비 풍조와 2016년 하반기 시행된 청탁금지법의 영향으로 이들 업종의 경기가 눈에 띄게 위축되고 있기 때문이다.

통계청이 3일 분석한 자료를 보면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음식점 및 주점업 생산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3.1% 감소했다. 벌써 3년째 내리막인데다 이번엔 2000년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에 시달리던 2009년 1∼11월 감소 폭(-2.4%)보다도 0.7%포인트(p) 더 크다. 각종 경제위기때보다 더 위험수위에 놓여있다는 얘기다.

게다가 고비를 넘긴다해도 분위기 반전을 기대하기도 어렵다. 지난해 수출을 중심으로 나타난 경기 회복세에 1∼11월 소매판매도 전년 같은 기간보다 2.7% 증가한 상황에서 음식주점만 위축됐다. 구조적인 문제라는 얘기다.

한국의 자영업은 생존 자체가 힘든 험난한 정글이다. 자영업자 10명 중 7명은 직원이 없는 ‘나홀로 사장’이다. 그런 1인 사장이 400만명을 넘고 또 그중 20%는 월수입이 100만원에 못 미친다. 생계형 자영업자들은 근로빈곤층으로 전락해 가는 처지다.

그중에도 음식업의 상황은 최악이다. 문닫는 가게 5곳중 하나는 음식점이다. 정부의 가계부채 대책에 포함된 생계형 자영업자(대출금액 3억 원 이하, 연 소득 3000만 원 이하)중 4분의 1이 음식점일 정도다.

음식업은 모든 업종 중 임금 수준과 처우가 가장 열악한 일터다. 2014년 기준으로 근로자 평균연봉이 3170만원이었을때 음식업 근로자들은 1260만원에 그쳤다. 3년이 지났어도 상황은 별로 나아지지 않았다. 10명중 8명이 한 달에 200만원을 벌지 못하고 4명중 3명은 임시ㆍ일용직이다.

그런데도 젊은이들은 음식업에 몰린다. 음식업 취업자 중 15~29세 청년층 비율이 2008년 12.9%에서 2014년 23.5%까지 올라갔다는 노동연구원 자료도 같은 맥락이다.

음식업의 위기가 자영업의 위기이며 젊은이들의 위기인 이유다. 시대변화에 신속히 대처하는 음식업자들의 자구 노력이 가장 먼저다. 가성비 높은 상품개발에 매진해야 한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정부 차원의 지원대책도 절실하다. 정부는 2월부터 농산물 구입액 중 일정 비율만큼 부가세를 돌려주는 의제매입세액공제 지원으로 음식업자의 부담을 한시적으로나마 완화하기로 했다. 그나마 다행이지만 좀 더 다양한 지원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