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전기차배터리 업계 ‘콩고發 코발트 리스크’에 잔뜩 긴장
- 코발트賈 지난해말 톤당 3만달러→현재 7만5000달러선 ‘급증’
- 아동노동착취ㆍ분쟁광물 등 논란에 수급 차질 우려
- “생산과정 투명해질 수 있는 기회로 삼아야”

[헤럴드경제=이세진 기자] 전기차배터리 핵심원료인 코발트 가격이 공급량의 60%를 생산하는 콩고의 지정학적 리스크에 급등세를 보이면서 국내 배터리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원가 상승에 수급 차질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위기감에 대응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12일 런던금속거래소(LME)에 따르면 코발트 가격은 현재 톤당 7만5000달러(8100만원)선으로 지난해 12월 톤당 3만달러와 비교해 2배 넘게 올랐다. 산업계는 배터리제품 판매가격이 고정돼 있다 가정할 때, 코발트 가격 상승으로 원가 비중이 올 한해 8%대에서 20%대로 급증한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 1년간 코발트 가격 상승 그래프 [사진=런던금속거래소 홈페이지 캡처]

전기차 시장과 배터리 수요가 확대되면서 원료 가격이 오르는 자연스런 수순으로 보기에는 올해 급등세가 이례적이라는 게 업계 시각이다.

업계에서는 세계 최대 코발트 생산국인 콩고가 내전중인데다, 코발트 채굴 접근이 쉽지 않아 다른 광물에 비해 가격 안정이 어렵다고 보고 있다. 여기에 최근 LME와 국제엠네스티가 콩고산 코발트 아동노동착취와 관련해 조사를 착수하는 등 윤리적 이슈까지 더해지면서 수급 우려를 반영해 가격이 크게 오르고 있다.

더불어 국제사회가 콩고산 코발트를 ‘분쟁광물(Conflict Minerals)’로 지정하는 것을 검토하며 파장은 더 커지고 있다. 분쟁광물은 중부 아프리카 반군단체나 군벌 등이 생산해 자금원으로 삼는 광물들로, 현재는 이들 지역에서 생산되는 주석ㆍ탄탈룸ㆍ텅스텐ㆍ금 네 가지 광물이 분쟁광물로 지정돼 있다. 코발트가 분쟁광물로 추가 지정되면 미국 상장기업과 공급사는 이를 사용할 경우 원산지 정보를 보고해야 할 의무를 갖게 돼 사용에 부담감을 느끼게 된다.

수급 차질에 대비해 국내 전기차배터리 업체들은 대응 방안을 폭넓게 검토 중이다.

업계에서는 전세계 매장량의 절반을 차지하고 품질까지 좋은 콩고산 코발트를 아예 쓰지 않는 것은 불가능하다 보고 있다. 이에 리스크 헤지를 통해 안정적인 수급 구조를 마련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은 원료 가격 상승을 제품가격에 유동적으로 반영시키는 ‘가격연동제’를 추구하고 있다. 김준 SK이노베이션 사장은 최근 “배터리 원재료값 부담을 자동차 업체와 공유하지 않으면 산업 생태계가 깨질 수 있다”며 가격연동제 도입을 주장하기도 했다.

한 배터리업계 종사자는 “IT기기 등에 들어가는 소형전지에 비해 완성차에서 전기차배터리 원가가 차지하는 비중은 낮은 편”이라며 “완성차 업체들이 가격연동제에 크게 난색을 표하는 상황은 아닌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지난 6월 ‘책임있는 코발트 공급망 경과보고서’를 발간한 삼성SDI는 국제 엠네스티와 발맞춰 콩고산 코발트 생산 환경에 대한 근본적인 처방에 나섰다. 삼성SDI 측은 “공급 체인을 투명하게 만들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콩고의 상황이 단기적으로는 가격 상승 요인이 됐지만 장기적인 시각에서 국제 사회 조치에 반색을 표하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한 배터리업계 관계자는 “콩고산 코발트는 질이 좋은 반면 내전중인 상황에서 어떤 업체도 직접 들여다보기 힘든 상황이 지속돼 왔다”면서 “엠네스티 주도로 RCI(Responsible Cobalt Initiative) 협의체가 구성돼 생산이 투명해질 수 있는 기회로 볼 수도 있다”고 전했다.

jin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