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 있으면 ‘얌전’ 앉으면 ‘칭얼’…두얼굴 아기 왜?
[헤럴드경제=이슈섹션] 지하철이나 버스에서 아기를 품에 안은 엄마에게 자리를 양보하다보면 “감사합니다만 애가 보채서…서 있는게 편해요”라며 사양하는 것을 종종 경험한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런 아기들에 대해 해외 SNS 등에도 “아기들에게는 의자에 앉으면 바로 버둥대며 울도록하는 센서라도 달리 모양”이라는 글이 올라오기도 한다고 전했다. 서서 어를 때는 천사처럼 얌전하다가도 앉으면 바로 칭얼대며 보채는 아기들의 행동에 과학적 근거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져 이목을 끈다.

아기를 안고 앉았을때와 서서 있을 때 아기의 우는 양을 나타낸 그래프. 파란 색이 앉아 있을 때 빨간색은 서있을 때. [사진=NHK화면 캡처]

NHK 보도에 따르면 일본 이화학연구소 연구팀은 12쌍의 모자를 대상으로 안기를 안고 걷거나 앉기를 반복하게 하면서 아기의 변화를 조사했다.

조사결과 엄마가 걷고 있거나 앉아 있을 때에 비해 아기가 우는 양은 약 1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리를 버둥대는 등의 운동량도 25%에 그쳤다.

하지만 아기의 심박수에서 차이가 났다.

앉아 있던 엄마가 걷기 사작하면 3초만에 아기 심박수가 급격히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대로 의자나 자리에 앉으면 바로 심박수가 올라갔아. 이는 엄마가 아기를 안을 채 걸을때가 가장 아기가 편안한 상태인 것으로 분석됐다. 지하철에서 서있는 엄마에게 안겨 흔들릴 때도 흔들의자와 같은 편안함을 느끼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런 모자의 행동은 고양이, 사자, 다람쥐 등 다른 포유류에서도 공통으로 나타난다고 한다.

어미가 새끼의 목 부위를 입에 물고 걸어서 둥지 또는 안전한 장소로 옮길 때는 심박수가 내려가 편안한 상태가 된다는 것이다. 원숭이나 인간의 경우에는 목 뒤가 아니라 아기의 배가 엄마의 몸에 밀착하게 된다. 다시 말해 안거나 업혀 있을 때 편안함을 느끼는 셈이다.

이런 일련의 행동에 대해 연구팀의 구로다 구미( 田公美) 연구원은 “동물이 ‘운반되고 있는 상태’는 위험이 닥치는 등 비상사태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새끼도 자신이 살아남을 확률을 높이기 위해 얌전하게 있는 것”이라고 풀이했다.

반면 이동하지 않고 있을 때는 위험이 닥치지 않았기 때문에 얌전히 있을 필요가 없어 “젖을 달라고 조르거나 불쾌감을 표시해도 괜찮다고 느껴 앉으면 울어대는 게 보통”이라는 것이다. 즉 서서 이동하거나 할 때 얌전히 있는 건 엄마에게 협력하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한다.

구로다 연구원은 다만 “지하철 등에서 서 있으면 급정차 등으로 넘어질 우려가 있는 만큼 안전을 고려할 때 누군가 자리를 양보해 주면 앉는 게 좋다”면서 “아기가 앉아도 얌전한 경우도 있으니 주위에서도 ‘양보 안 해도 된다’고 생각할 게 아니라 자리를 양보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