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美연준 금리 동결, 우리도 인상 서두를 이유없다
미국의 통화정책 방향이 안정과 슬로우 스텝을 유지하는 쪽으로 결정됐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1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현재의 1.00~1.25%로 동결했다. 노동시장을 비롯한 경제활동이 견고한 상승세를 띠지만 물가상승률이 1.3%로 연준의 목표치 2%에 밑돈다는 이유다. 앞으로 올리겠지만 지금은 동결이란데 만장일치였다.

여기에다 트럼프 대통령은 내년 2월 임기가 마감되는 옐런 의장의 후임으로 제롬 파월 연준 이사를 결정했다. 금리인상 여부보다 후임 연준 의장에 더 관심이 쏠렸던 시장은 안도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대형 사모펀드인 칼라일그룹 출신인 파월 이사는 연준 내에서도 가장 비둘기파로 분류되는데다 규제완화를 선호하는 인물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옐런의 정책 기조와도 크게 다르지 않아 불확실성이 크게 줄어들었다. 국회 인준 과정을 거쳐야 하지만 전 민주당 정권에서 임명됐기 때문에 여야 모두의 반발없이 무난하게 통과될 전망이다.

미국이 이처럼 점진적 정상화 방침은 우리의 통화정책에도 반영되어야 한다. 시장에선 이미 금리인상을 기정사실화하고 오히려 급격한 인상을 우려하는 분위기다. 각종 지표가 그럴 가능성을 높여주는 건 사실이다.

금통위가 고려하는 금리인상의 기준선은 물가상승률 2%와 경제성장률 2.7~2.9%다. 3분기 누적 성장률이 벌써 3.1%다. 게다가 한중간 사드 갈등은 해소됐고 정상회담으로 양국간 경제교류가 빠른 속도로 과거 수준을 회복한다면 성장률은 깜짝 수치를 나타낼 수도 있다.

문제는 금리 인상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다. 2012년 이후 저금리에 익숙해진 경제구조에 충격은 금물이다.성장률로 나타나는 지표 상황도 속을 들여다보면 위험 요소가 곳곳에 도사리고 있다. 수출의 깜짝 실적도 반도체 초호황을 빼고 나면 별게 없다. 추경으로 정부 재정을 쏟아부은 덕에 정부소비가 2.3% 증가했다. 민간소비는 여전히 0.7% 증가율이다. 설비투자 증가율도 0.5% 증가에 그쳤다. 무엇보다 금리 인상의 여파는 기업보다 가계에 엄청난 파장을 몰고 온다. 그것도 취약계층이 가장 민감하다.

금융기관 3곳 이상에 빚이 있는 다중채무자의 대출액이 가계부채 전체의 3분의 1이나 되는 게 오늘날 현실이다. 소득이 적거나 신용등급이 낮은 취약차주가 150만명에 육박한다. 이들에겐 금리가 1%만 올라도 이자는 20% 가까이 늘어난다.

금리인상은 불가피하다해도 서두를 이유는 전혀 없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