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文정부 ‘비정규직 제로’에 여유 넘치는 은행권
창구 텔러 등 이미 정규직 전환
4대시중銀 비정규직 비중 5.28%
전문직·시간선택제 등이 대부분

남은 비정규직은 변호사나 회계사, 세무사 등 전문 계약직이나 정규직 전환이 사실상 어려운 파트타이머(시간선택 근로자), 퇴직 후 재취업자 등이 대부분이다.

4대 은행 중 그나마 비정규직 비중이 높은 국민은행은 1295명의 비정규직 중 722명은 경력단절 여성 등을 대상으로 채용한 파트타이머들이다. 나머지는 전문 계약직이나 시니어 재취업자 등이었다. 현재 정규직 전환이 가능한 인원이 거의 없다는 게 은행 측 설명이다.

신한은행도 781명의 비정규직 중 160여명 사무인력을 제외한 600여명이 전문 계약직이나 관리전담역(시니어 재취업자)이었다. 사무인력 역시 입사시 2년 후 정규직으로 전환되며, 올해부터는 이런 조건 없이 정규직으로 채용된다. 올해 2년이 지나 정규직이 되는 인원도 현재 사무 인력의 40%다.

시중은행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은 지난 2007년 3월 우리은행이 3076명의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면서, 신호탄을 쐈다. 황영기 당시 우리은행장은 채용 후 2년이 경과하면 계약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기간제근로자법 시행을 앞두고, 노사합의를 통해 대규모의 정규직 전환을 선언했다. 이후 신한은행과 국민은행이 각각 2013년과 2014년 대규모의 정규직 전환을 단행했다. 하나은행도 외환은행과 통합하면서 지난 2015년 8월 3130명의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바꿨다.

정규직으로 전환된 비정규직에 대해서는 복리후생에 대한 차별도 없고 정년도 보장된다. 다만 업무가 다른 만큼 인사원칙에 차이는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에 따라 예금 업무가 위주인 직군을 일반 직군과 같은 급여를 줄 수는 없다”면서도 “일부 직군에 대해서는 승진의 기회를 주거나 성과급을 지급하는 등 동기부여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새 정부의 ‘비정규직 제로(0)’ 정책에 재계가 떨고 있지만, 은행권은 오히려 여유로운 분위기다. 지난 2007년 우리은행을 필두로 시중은행 대부분이 대표적인 비정규적이던 창구 텔러 등을 정규직으로 전환했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은행권의 사례가 향후 타업종에 참고가 될 전망이다.

22일 은행권에 따르면, 4대 시중은행의 전체 직원 중 비정규직 비중은 5.28%에 불과하다. 은행 별로 보면, 국민은행이 7.09%로 가장 높고, 신한은행이 5.44%로 그 뒤를 이었다.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은 각각 4.89%와 3.7%으로 평균을 밑돌고 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