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평균 7.7년마다 이삿짐…“내집 마련하러”
[헤럴드경제] 우리나라 국민은 평균 7.7년마다 이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국토교통부가 국토연구원과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해 7∼9월 전국 2만 가구를 대상으로 개별 면접해 조사ㆍ발표한 ‘2016년도 주거실태조사’에 따르면 전체 가구의 평균 거주 기간은 7.7년으로 조사됐다.

평균 거주 기간은 거주 형태별로 차이가 커, 자가 가구는 10.6년, 임차 가구는 3.6년이었다. 자가 가구의 거주 기간은 2012년 12.5년에서 2014년 11.2년에 이어 지난해 더 줄었다.


반면 같은 기간 임차 가구의 거주 기간은 3.7년, 3.5년, 3.6년으로 큰 변화가 없는 가운데 작년에는 소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2년 이내에 이사 경험이 있는 가구의 비율은 36.9%로 2014년 36.6%에 비해 다소 높아졌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가구 중 2년 내 이사 경험이 있는 가구는 40.9%로 2014년 40.3%에 비해 증가했다. 지방광역시는 2014년 35.1%에서 작년 37.1%로 증가한 반면 도지역은 32.0%에서 30.8%로 줄었다.

이사 경험이 있는 가구를 대상으로 그 이유를 물은 결과 ‘자가주택 마련을 위해’라는 답변이 23.9%로 가장 많았다. 그 외에 ‘주택규모를 늘리려고’(22.4%), ‘시설이 더 좋은 집으로 이사하려고’(20.6%), ‘직주근접을 위해, 혹은 직장 변동 때문’(20.2%) 등 순이었다. 전체 가구 중 이사 의향이 있는 가구는 13.2%였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16.0%로 지방광역시(11.2%), 도지역(10.2%)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작년 1인당 주거면적은 33.2㎡로 2014년 33.5㎡에 비해 소폭 줄었다. 1인당 주거면적은 2006년 26.2㎡에서 2014년 33.5㎡까지 꾸준히 증가했지만 작년 처음 하락세를 보였다.

주택의 면적이나 채광 등 주거수준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최저주거기준’에 미달하는 가구의 비율은 작년 5.4%로 2014년과 비율이 같았다. 하지만 가구 수는 2014년 99만 가구에서 작년 103만 가구로 4만 가구가량 늘었다.

이에 대해 국토연구원 관계자는 “1인 가구가 늘어나면서 저소득층 가구 수가 늘어나 최저주거기준 가구도 늘었다”며 “집에서 독립해 혼자 사는 청년층 등이 많아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한편 응답자들은 주거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해 39.5%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점유형태별로는 월세가구의 경우 ‘주거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59.6%로 전세(55.4%) 및 자가(27.1%) 가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지원이 필요하다는 가구를 대상으로 필요한 주거지원 프로그램을 조사한 결과 자가 가구는 ‘주택자금 대출지원’과 ‘주택개량·개보수지원’을, 임차가구는 ‘전세자금 대출지원’, ‘주택자금 대출지원’, ‘월세보조금’을 꼽았다.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거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2.93점(4점 만점)으로 2014년 2.86점에 비해 소폭 상승했다.

항목별 만족도는 2014년에 비해 교육(+0.09), 대중교통(+0.09), 소음(+0.08) 순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