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 명동·서귀포 요우커 발길 ‘뚝’…업계 “5월이 두렵다”
단체관광 5월 70% 감소 전망
제주시내 호텔 2곳 잠정 휴업도

民官 연일 비상대책 회의
150억 저리융자·내수활성화
시장다변화 등 ‘4트랙’ 대응

중국의 한국행 단체관광상품 판매 전면 금지조치가 시행된 15일 서울 명동과 강남역 주변, 인천 차이나타운, 제주 서귀포 등에서는 요우커(游客:중국인 관광객)의 발길이 눈에 띄게 줄었다. 중국인들이 가이드 깃발 아래 떼 지어 길거리 담소를 나누며 활보하는 모습은 찾아보기 쉽지 않았다.

문체부, 한국관광공사, 서울시, 여행업계는 연일 비상대책 회의를 하고 있다. 민관은 지난 6일 중국전담 여행사 회의, 7일 서울시 간담회, 9일 문체부 회의에 이어 15일에는 서울시 관광정책설명회 및 토론회를 가졌다. 이어 16일에는 문체부 장관대행 주재로 관광 협ㆍ단체장 간담회를 연다.

민관은 향후 3~4개월 동안 월별 30~70% 요우커 감소가 있을 것으로 보고, ▷여행업계 금융 지원 ▷개별관광객 마케팅 강화 ▷외래 관광객 유치국 다변화 ▷관광 내수 진작 등 ‘4트랙’의 전략 마련에 나섰다.

중국 한국행 단체여행상품 판매 금지 조치가 내려진 15일 중국 교포가 밀집해 있는 서울 영등포구 대림동은 큰 타격을 받았다(왼쪽). 또한 사드 배치 갈등은 중국 내 반한 감정 뿐 아니라 국내의 반중 감정도 자극하고 있다. 명동 일대의 화장품 매장에서 구매 도우미로 일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들.

▶‘시끌벅적 활보’ 급감=15일 서울 명동거리를 활보하던 중국인 단체관광객 깃발과 왁자지껄한 모습은 크게 줄었다. 인천 차이나타운 역시 중국인은 작년 말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

제주 시내 호텔 2곳, 인바운드 여행사 1곳은 잠정휴업 또는 폐업을 검토중이다. 평창 동계올림픽 세일즈에도 비상이 걸렸다. 강원도 최문순 지사는 오는 21~23일 중국 베이징을 방문해 동계올림픽 홍보와 투지유치를 펼치는 ‘정면돌파’에 나선다.

다만 표나지는 않지만 1~4명 개별여행객들의 방문만 이어지고 있다. 방한 요우커 중 단체는 40%, 싼커(散客)로 불리는 개별관광객은 60%를 차지한다.

3월은 단체 예약분 중 취소 건수가 많지 않아 소폭 하락이 예상되고, 4월 역시 두달전 이미 예약해 놓은 물량이 적지 않기 때문에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30% 안팎 줄어들 것으로, 업계는 예상했다.

그러나 두 달 후엔 ‘잔인한 5월’이 올 것 같다. 성수기가 시작되는 5월에는 단체관광객이 거의 사라지고 개별여행객만 유입되므로 전년대비 70% 안팎 감소가 불가피하다는 관측이다.

업계 일각에서는 대선 후 새 정부 출범 즈음인 7월 방학시즌 부터는 두 나라 간 대화 모색 과정을 거치면서 관광도 조금씩 회복될 수 있다는 예측도 나온다.

▶개별관광 편의확대 등 대책 부심=민관은 우선 150억원 규모의 특별저리융자를 통해 중국전담여행사의 경영지원을 하기로 했다. 업계는 2년전 사드로 인한 특별융자를 고려해 추가 여신 기준을 완화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또 민과 관이 중국 아닌 나라에 대한 마케팅에 함께 손 잡고 나가는 일이 더 빈번해진다. 다자간, 양자간 B2B 계약협상 멍석도 정부가 적극 깔아준다.

중국시장도 개별여행객이 더 편안하고 더 풍성하게 한국여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늘려 마케팅을 지속할 방침이다.

특히 민관은 관광 내수 활성화에 진력키로 했다. 한국인의 중국행 발걸음도 적지 않게 줄어 이들을 국내 여행으로 돌리겠다는 것이다. 문체부와 지자체는 인프라를 개선하고 대한상의등과 협력해 ‘휴가 다 쓰기’ 캠페인을 벌인다.

▶中업계 피해도 커질듯, 여름이 고비= 몇달 어려워도 회복 가능한 징후 몇 가지에 주목한다. 7,8월이 고비가 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에서 한국에 중국인을 보내는 여행사가 3000개 안팎에 달한다. 작년 중국인 806만명이 한국에 오고, 한국인 444만명이 중국에 갔으니, 이번 조치로 절대적인 피해액은 중국이 더 크다.

아울러 ‘몽니’의 발단이 아래로부터의 분노가 아닌, 위로부터의 명령이라는 점에서 중-일 영토갈등 때와는 다른 분위기라는 분석도 있다.

최근 중국도 확전을 피하려는 기류, 한국 대선직후 양국간 갈등 회피 가능성도 ‘수개월 후 회복’의 징후로 거론된다.

함영훈 기자/abc@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