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통계청의 ‘한국의 사회동향 2016’에 실린 전북대 문성만 교수의 ‘1인 청년가구의 소득과 소비’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1인 남성 청년가구 중 자영업 종사자의 비율은 12.2%였다. 10년 전인 2006년 7.4%에 비해 4.8%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 |
채용박람회에 몰려든 청년들 [사진=헤럴드DB] |
이 기간 1인 남성 청년가구의 경상소득 대비 근로소득 비중은 87.3%에서 75.0%로 하락했다. 여성의 근로소득 비중도 74.6%에서 71.3%로 내려갔다. 취업을 해서 돈을 버는 비중이 그만큼 감소한 셈이다.
반면 사업소득이 경상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인 남성 청년가구의 경우 2006년 7.8%에서 2015년에는 이의 약 2.4배인 18.9%로 급증했다. 여성의 사업소득 비중도 10.5%에서 두배 이상인 21.9%로 급증했다.
문성만 교수는 “남성과 여성 모두 근로소득 비중이 낮아지고 사업소득 비중이 높아진 것은 기업들의 청년고용이 감소한 것과 관련이 있다”고 분석했다. 경기부진 장기화로 인한 기업들의 채용 감소가 청년창업 증가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hjlee@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