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위기의 가계①] 불확실한 미래…소비 줄이고 저축 늘리는 가계
[헤럴드경제=강승연 기자]최근 국내 경제가 민간소비를 중심으로 살아나는 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이 같은 분위기가 하반기로 이어질 지에 대해서는 물음표를 다는 시각이 적지 않다.

조기 재정집행, 개별소비세 인하 등 정부의 경기부양책이 가져온 일시적 소비 증가일 뿐 가계 소득ㆍ소비여력 개선에 따른 자발적 소비 단계로 끌어올리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하반기 소비 진작책이 종료되고 기업 구조조정이 본격화되면 가계가 지갑을 열기가 더욱 어려워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 2분기 민간소비가 전기대비 0.9% 증가하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1분기 0.5%에서 2분기 0.7%로 밀어올렸다. 이를 연율로 환산하면 3%를 약간 밑돌아 잠재성장률(2015∼2018년 3.0∼3.2%)에 근접한 수준이라는 게 한은의 분석이다.

문제는 민간소비 증가세가 하반기에 꺾여 경기회복에도 찬물을 끼얹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한은은 민간소비 증가율이 상반기 2.7%에서 하반기 1.9%로 하락할 것으로 보고 있다.

상반기 소비증가를 견인한 주요인이 정부 재정 조기집행, 자동차 개별소비세 인하 연장, 임시공휴일 지정 등 적극적 소비 활성화 정책이었는데 하반기에는 이런 정책효과가 사라지게 된다. 대신 조선ㆍ해운업 구조조정 본격화, 김영란법 시행 등 소비제약 요인이 확대될 전망이다.

무엇보다 정책효과를 제외하면 민간부문의 자생적 소비 회복세가 여전히 미약하다는 사실이 우려를 일으키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가계 평균소비성향(소득에 대한 소비 비율)은 1분기 72.1%로, 1분기 기준으로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가계가 쓸 수 있는 소득이 100만원 늘더라도 추가로 지출한 소비금액이 72만원밖에 안 된다는 뜻이다. 2011년 1분기에는 78만원 정도였다.

소비부진의 원인으로는 가계소득 정체와 가계부채 부담 등이 꼽힌다. 허문종 우리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최근 가계소비 현황과 전망’을 통해 “금융위기 이후 소비부진의 가장 근본적 원인은 가계의 소득 증가세 둔화”라고 지적했다.

1분기 가구당 월평균 명목소득은 455만5000원으로 1년 전에 비해 0.8% 증가했다. 증가율은 지난해 1분기 2.6%에 비해 1.8%포인트 낮아졌다.

이는 가계소득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근로소득 증가세 둔화에 주로 기인한다. 1분기 가구 평균 근로소득은 302만1838원으로 전년동기대비 0.3% 늘어나는 데 그쳤다. 지난해 1분기(3.8%)는 물론 직전분기인 4분기(0.9%)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그 영향으로 국민의 주머니 사정을 보여주는 지표인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은 지난해 1만5524달러를 기록해 2014년(1만5922달러)보다 2.5% 감소했다.

1223조7000억원에 달하는 가계부채도 소비를 망설이게 하는 요인이다. 2010년 이후 가계대출 분기 평균 증가율은 7.6%로 명목 국민총소득(GNI) 증가율(5.3%)를 크게 웃돈다. 올해 1분기에는 그 차이가 7.9%포인트까지 확대됐다.

가계는 지갑을 여는 대신 아끼는 쪽으로 기울고 있다. 1%대 저금리 기조에도 불구하고 부정적 경제지표와 불확실한 대내외 여건 등이 저축이 낫다는 판단을 내리게 한 것이다. 지난해 가계순저축률은 전년대비 1.4%포인트 상승한 7.7%로 지난 2008년(8.4%) 이후 15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소비 위축으로 우리 경제의 저성장 기조가 고착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지난달 한은 금융통화위원회 의사록을 보면 금통위원들은 “무엇보다 소비진작이 기업투자로 이어지는 선순환이 회복되지 않으면 관련(가계부채) 리스크는 점진적으로 확대될 것”, “하반기에는 소비와 건설투자의 증가세 약화, 기업구조조정 본격화 등으로 상반기에 비해 성장세가 다소 약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등의 의견을 냈다.

sp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