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박성준 “3D프린팅 선진국, 의무교육 등 대중화 올인…한국, 갈길 멀다”
[헤럴드경제= 신동윤 기자] 3D프린팅산업의 발전 방향과 산업 육성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미래창조과학부 주최로 한국생산성본부와 헤럴드경제가 주관해 대한상공회의소 후원으로 지난 10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장에서 ‘3D프린팅을 통한 창조경제 신시장 창출’ 주제의 세미나가 열렸다.

다음은 박성준<사진> 한국교통대 3D프린팅센터장(기계공학과 교수)이 ‘3D프린팅의 교육 적용’을 주제로 발표한 내용을 요약한 것이다.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체계적인 3D프린팅 교육 과정과 콘텐츠가 개발되거나 제공된 적이 없다. 그런만큼 교육 부문에서 3D프린팅 관련 시장은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대한 분석 및 도전이 필요하다. 최근 산업 분야에서의 3D프린팅 시장은 연평균 성장률이 최소 20%에 이르는 등 빠른 성장 속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장비, 소프트웨어, 소재, 서비스 등 다양한 파생 시장이 나타나고 있다.

그 중에서도 3D프린팅 교육은 서비스 분야의 가장 대표적인 산업이라 할 수 있다. 현재 전체 3D프린팅 시장의 8%에 불과한 교육 시장은 연평균 50% 이상 성장하며 다른 어떤 사업분야보다 빠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자신한다. 실제로 3D프린팅 산업을 선도하고 있는 미국, 영국, 일본, 중국, 독일 등 5개국은 3D프린팅 교육을 의무교육 과정에 적용하는 등 대중화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그에 비해 한국은 아직 걸음마 과정에 불과하다는 것이 업계 전문가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정부에서는 미래창조과학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축이 되어 1000만명 인력 양성을 하겠다고 나섰다. 또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전국 광역 단체별로 3D프린터를 마음껏 활용할 수 있는 설비를 갖춘 17개의 ‘무한상상실’을 만들고, 창조경제혁신센터를 개소하는 등 다방면의 노력을 하고 있다. 이 같은 노력의 방향이 3D프린터 및 소재 등 하드웨어에 국한되지 않고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등 일반인의 진입 장벽을 낮추기 위한 곳을 향해야 3D프린팅 산업 관련 창업 활성화 등 신사업이 창출될 수 있다.

/realbig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