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미술의 언어로 ‘거친 오늘’을 고발하다
제 56회 베니스 비엔날레 화려한 개막
찢긴 국기와 무기·자본론 무대 낭독등
다양한 설치·퍼포먼스로 자본주의 비판
시위현장 드로잉 연작 아픈 현실 대변

올 유난히 영상작품 많아 영화제 방불

韓 상징적-日 감성적 전시 비교재미도



[베니스=김아미 기자] 세계 최대, 최고의 미술축제인 ‘제 56회 베니스비엔날레’가 아드리아해의 중세도시 베니스에서 9일(현지시간) 화려하게 개막했다. 총 53개국에서 136명의 아티스트가 참여했으며, 그 중 89명은 베니스비엔날레에 처음으로 참가하는 작가들이다. 전시는 11월 22일까지 6개월이 넘는 기간 동안 이어진다. 국가관 전시와 본전시 이외에도 병렬전시와 기타 전시들이 위성 행사로 베니스 곳곳에서 열린다. 모든 작품을 꼼꼼히 다 보려면 족히 한달은 걸릴 정도로, 작품 수가 많고, 집중을 필요로 하는 작품들도 많다. 심지어 상영시간 2시간이 넘는 비디오 작품도 있다. 이번 베니스비엔날레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3대 주요 키워드로 정리해봤다.



1. 미술, 혁명구호가 되다

이번 베니스 비엔날레는 지금 여기 우리들의 삶 속에 미술이 존재해야 한다는 데에서 출발했다. 전시 총감독 오쿠이 엔위저는 미술이 현실과 동떨어진 죽은 언어가 아닌, ‘오늘’을 발언하는 살아있는 언어임을 증명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영화감독이자 작가인 영국의 아이작 줄리앙은 비디오와 퍼포먼스로 자본주의를 도발하고 나섰다. 자르디니 공원 내 이탈리아관 무대에서 배우들이 마르크스의 ‘자본론’을 낭독하게 했고, 비디오 설치 작품은 아예 ‘Kapital(2013)’을 타이틀로 내걸었다. 

아르헨티나 출신으로 뉴욕, 베를린, 치앙마이를 오가며 활동하고 있는 리크리트 티라바니야는 각국의 시위 현장을 담은 ‘Demonstration Drawings(2015)’ 연작을 선보였다.

예술의 도구성만을 과도하게 부각시켰다는 점은 이번 비엔날레의 한계로 지적된다. 본전시 장소인 아르세날레관 초입에서부터 각종 전쟁무기들이 위압적 분위기를 조성한다.

검은색 휘장을 무시무시하게 늘어뜨린 이탈리아관이나, 짓밟히고 찢긴 국기들이 나뒹구는 세르비아관도 비슷한 중압감을 준다. 



2. 비엔날레 같은 영화제, 영화제 같은 비엔날레

비디오라는 매체가 순수미술과 상업예술의 경계를 무너뜨렸다.

이번 베니스비엔날레는 영화제를 방불케 할 만큼 영상 작품들이 압도적인 수를 차지했다. 이러다가 베니스비엔날레와 베니스영화제를 합쳐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다.

일단 한국관의 문경원, 전준호 작가를 포함, 본 전시에 초청된 남화연, 임흥순 작가가 모두 영상을 들고 나왔다. 특히 95분짜리 장편영화를 들고 나온 임흥순 작가는 그동안 주로 영화제를 통해 이름을 알려왔던 영화감독 출신이다.

가나 출신으로 영국에서 활동하는 존 아캄프라도 1980년대부터 영화를 통해 흑인 인권 문제를 다루어온 작가다. 이번 비엔날레에서 선보인 비디오 설치 작품의 상영시간은 총 48분 30초.

2013년 베니스영화제 황금사자상을 이탈리아 다큐멘터리 영화 ‘사크로 GRA’가 받은 것이나, 2014년 황금사자상을 수상한 스웨덴 감독 로이 안데르손이 조각가이기도 한 사실을 보아도, 이러한 경향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3. 머리로 읽는 한국관, 가슴으로 느끼는 일본관

한ㆍ일 경쟁은 미술분야에서도 이어졌다. 특히 베니스비엔날레 국가관 전시가 열리는 자르디니 내에서 한국관과 일본관은 나란히 위치해 있어 경쟁구도가 자연스럽게 형성돼 있다.

이번 베니스비엔날레에서 한국관과 일본관은 서로 상반된 스타일의 작품을 선보여 눈길을 끌었다. 한국관은 ‘축지법과 비행술’이라는 주제로 뇌과학 분야의 가설을 도입, 다양한 암시와 상징의 해석을 유도하는 반면, 일본관은 붉은 실과 열쇠, 낡은 조각배를 이용한 대형 설치작품으로 압도적인 비주얼을 선사하면서 동시에 서정적인 심상을 불러일으킨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이다. 전자가 머리로 읽는 전시라면, 후자는 가슴으로 느끼는 전시라는 것.

양쪽 국가관 모두 “우리 전시가 최고라는 평을 받았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한국관 커미셔너인 이숙경씨는 “팔레 드 도쿄 관장으로부터 최고의 국가관(Top pavillion)이라는 찬사를 받았다”고 말했다.

amigo@heraldcorp.cp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