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부실 창업환경, 경직 금융기관, 불투명 정부정책이 핀테크 3敵”
〔헤럴드경제=이형석 기자〕부실한 스타트업(창업) 환경과 금융기관의 경직된 조직문화, 신뢰도가 낮은 정부 정책이 국내 핀테크 산업 육성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류한석기술문화연구소의 류한석 소장은 2일 KT경제경영연구소 디지에코에 게재한 ‘핀테크 산업 트렌드 및 시사점’이라는 제하의 보고서에서 “해외의 핀테크 산업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면서 “반면에 국내의 핀테크 산업을 살펴보면 그간 모바일 지급결제 서비스, P2P 대출 서비스 등이 등장하긴 했지만 실적을 따지는 게 무의미할 정도로 초라한 상황”이라며 이같이지적했다.

보고서는 “최근 금융위원장이 직접 나서서 관련 규제를 없애고 200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히고, 국내 미디어들이 앞다투어 정부의 핀테크 산업 육성 의지를 앞다투어 소개하면서 핀테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하지만 국내에서 핀테크 성공사례가 나오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그 첫째 이유로 “무엇보다 국내 스타트업 환경이 여전히 부실한 상태이고 특히 창업 문화는 단기간에 개선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대부분의 핀테크 분야는 상당한 초기 투자금과 창업 인재를 필요로 하지만 국내에서는 벤처캐피털이 부재하고, 유능한 인재들이 창업을 기피한다는 것이다. 창업에 나선 소수의 인재들조차 게임, 커머스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투자금 유치가 수월하고 당장의 수익성이 높은 분야를 선호한다는 것이 보고서의 진단이다.

국내 금융기관의 조직문화도 문제점으로 언급됐다. 핀테크 스타트업은 신용카드사나 은행 등 기존 금융기관과의 긴밀한 제휴를 필요로 하며 실제 해외에서는 대형 은행들을 중심으로 적극적으로 신기술을 도입하거나 유망 핀테크 스타트업에 투자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러한 추세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회장과 은행장이 맞선 KB금융 사태와 2014년 11월에 있었던 은행연합회장 선임 사태에서 알 수 있듯이 여전히 사내정치, 관치금융의 논란에서 자유롭지 않은 상태”라고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정부기관의 규제 철폐 및 핀테크 육성책에 대한 불신도 핀테크 산업 육성의 장애로 꼽혔다. 보고서는 한국이 정부정책 투명성 133위, 법체계의 효율성 113위, 정치인에 대한 공공의 신뢰 97위를 차지한 2014년 세계경제포럼(WEF) 발표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를 그 실례로 들었다. 보고서는 “규제가 문제가 아니라 규제에 대한 신뢰가 없는 게 문제이며 다르게 표현하면 규제품질이 문제”라며 “정부는 불필요한 규제는 없애되 필요한 규제는 오히려 강화하고 공정하게 집행함으로써 공공의 신뢰를 얻는 데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보고서가 인용한 IT시장조사업체 벤처스캐너의 조사에 따르면 2014년 11월 기준으로 핀테크 산업에는 17개 분야 1027개 업체가 존재하며 이들 업체에 총 129억 달러의 투자가 이뤄졌다. 또 시장조사업체 스트레티지아이가 밝힌 2014년 1월~11월까지의 전세계 톱10 핀테크 투자를 살펴보면, 모바일 결제 서비스의 개척자 스퀘어(Square), 온라인 결제 서비스 스트라이프(Stripe), 중국의 P2P 대출 서비스 렌렌다이(Renrendai), 금융정보 관리 서비스 크레디트 카르마(Credit Karma) 등에 대해 대규모 투자가 이뤄졌다. 보고서는 “영국, 미국, 중국 등 여러 국가에서 핀테크 산업이 초기 단계를 지나 성장기에 접어든 반면에, 한국은 아직 태어나지도 못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su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