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 FEMA 국가 재난 대응체계 발동되나
[헤럴드경제=문영규 기자]에볼라바이러스로 미국 텍사스주가 댈러스 카운티에 대한 비상사태 선포를 검토하면서 연방재난관리청(FEMA) 중심의 통합 국가 재난 대응체계가 발동할지 주목되고 있다.

일부 학교가 휴교에 들어가고 에볼라 환자와 접촉한 인물들에게 자발적 격리 조치가 취해지면서 미국 본토 분위기는 준 전시(戰時) 수준으로 치달아 긴장감이 고조됐다. 

특히 16일(현지시간) 에볼라로 인한 피해를 직접 경험하고 있는 댈러스 카운티 정부는 릭 페리 텍사스 주지사에게 비상사태 선포를 요청하기도 했다.

미국은 자연재해 등이 발생했을때 해당지역 주지사가 비상사태를 선포하면 FEMA가 각 정부기관을 통합해 집중ㆍ일원화된 재난대응을 하게 된다.

2005년 허리케인 ‘카트리나’, 2007년 캘리포니아주 대형 산불사고 등에 이어 세계최고의 대응능력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는 미국의 국가 재난 대응체계가 다시 한 번 시험대에 오르게 되는 셈이다.

여기서 FEMA는 국가 차원의 재난이 발생했을때 28개 연방정부기구와 적십자사, 민간 구호기관 등을 통제하는 콘트롤타워 역할을 한다.

그러나 지휘의 개념보다는 각 정부기관의 역할을 조정하는 조정 기능에 더 가깝다.

[사진=위키피디아]

FEMA의 조정 역할을 뒷받침하는 것은 통합재난관리체제(IEMS)와 다중기관조정체제(MACs)다.

IEMS는 총 13단계로 이뤄져 연방정부기관 지휘책임자부터 일선 현장직원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의 관계직원들에게 기본 이론, 운영철학 등을 제시한다. MACs는 재해상황 판단과 대응 우선순위 조정, 기관 간 정보전달 지침수립ㆍ전파의 기능을 한다.

과거 카트리나 발생때는 정부의 대응이 부실했다는 비판 여론이 거셌다. 재해대응 책임자들의 비전문성 문제가 제기됐고 허리케인 규모 예측 실패, 정부 기관 간 조율 부재, 피해조사 및 복구 부실 등 모든 단계에서 총체적인 부실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를 계기로 국가재난대응계획이 제대로 기능할 수 있도록 실행방안을 마련하는 후속조치를 취하기도 했다.

미국 재난대응의 역사는 2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803년 뉴햄프셔주 포츠머스에서 발생한 연쇄 화재사고를 계기로 7대 의회가 재난 구호 법안을 통과시켰고 이후 1973년 연방재난지원국(FDAA)가 주택도시개발부 산하에 설치됐다.

이것이 미국 재난ㆍ재해관리의 콘트롤 타워 역할을 하는 연방재난관리청(FEMA)의 전신이다.


1978년 행정부 재편성 계획에 의해 떨어져 나와 독립된 기구로 운영되다 2001년 9ㆍ11테러 이후 테러를 포함한 국가 재난 대응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2003년부터 22개 관계기관과 함께 새롭게 설립된 국토안보부 산하에 편성됐다.

FEMA는 연방정부와 주정부와 함께 각 분야 전문가들을 모으고 재건 및 안정을 위한 기금을 모으기도 하며, 미 중소기업청(SBA)와 함께 개인 회생을 위한 저금리 대출도 지원한다.

피해자의 재해 회복 관리 기능도 하는데 정부기관과 적십자 등 민간기구가 정신적 충격을 받은 사람들을 찾아 도움을 제공하는 위기상담프로그램(CCP)을 가동하기도 한다.

FEMA 본부의 국가재난대응편성센터(NRCC)가 이 중에서도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직원 수는 약 7500명, 예산은 약 110억달러 정도다.

yg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