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경제영토’ 확장 새 지평 연 장보고기지
남극은 지구의 마지막 남은 자원 보고다. 이를 확보하기 위한 주요 국들의 경쟁은 총성 없는 전쟁이나 다름없다. 남극에 한 곳이라도 과학기지를 세운 나라가 30개국에 이르는 것만 봐도 경쟁이 얼마나 치열한지 알 수 있다. 12일 준공된 장보고 과학기지는 이 대열에 한국이 어깨를 나란히 하는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반갑고 의미가 크다. 이로써 세종과학기지와 함께 남극 연구는 쌍두마차 체제로 재편됐다.

세종기지는 남극대륙 서쪽 끝 킹조지섬에 위치한 반면, 장보고기지는 대륙 본토에 자리를 잡았다. 세종기지는 유일한 남극 전진기지로 많은 애를 써 왔지만 동남극 지역과 본토 연구에는 지리적으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장보고기지가 문을 열면서 이런 약점은 상당부분 보완이 가능하게 됐다. 해양환경, 연안생태 등 연안기반 연구는 세종기지가 맡고, 장보고기지는 빙하, 운석, 오존층, 극한지 공학 등 대륙기반 연구의 전진기지 역할을 하면 된다. 더욱이 해양수산부는 관련 업계와 학계의 플랜트·장비·로봇·신소재 등 극한지 실용기술 개발을 위한 실험에 장보고기지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장보고기기가 우리 과학·기술·산업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 데도 기여할 수 있다는 얘기다.

남극은 석유·석탄·가스 등 광물자원은 물론 생물자원의 보고인 데다 자연과학 분야의 기초연구 및 응용과학의 훌륭한 실험장이다. 많은 나라가 앞다퉈 남극에 ‘알박기’를 하는 이유다. 상설기지가 2개 이상인 곳만 해도 남극에 접한 아르헨티나(13개)와 칠레(11개)를 중심으로 러시아(10개), 중국(4개), 호주(4개), 영국(4개), 미국(3개) 등 10개국이다. 당장은 평화적 이용을 위한 과학조사와 국제협력만 허용돼 있지만 앞으로 남극 개발이 어떻게 진행될지는 누구도 알 수 없다. 1951년 남극 조약으로 세계 각국의 영유권 주장은 동결됐고 2048년까지 지하자원 개발도 금지됐다. 하지만 30여년 후 남극 자원개발이 시작된다면 기득권을 가진 쪽이 유리할 수밖에 없다. 박근혜 대통령이 준공 축하 영상 메시지를 통해 “기회의 대륙 남극은 과학영토, 자원영토를 확장해 나아가기 위해 반드시 개척해야 할 핵심지역”이라고 평가한 것은 그래서 올바른 인식이라 하겠다.

북극 개발과 연구도 남극 못지않다. 지금 그곳에선 다산과학기지(2002년)와 쇄빙연구선 아라온호가 맹활약하고 있다. 활발한 극지연구는 결국 우리의 경제영토를 넓히는 일이다. 각 연구기지가 그 첨병이 돼주길 바란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