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전력난에…한전, 밀양 송전탑 공사 재개
합의한 마을부터 20일 전후 재개물리적충돌 우려…주민 설득 관건한전 “지중화 불가능”입장 여전보상협의·대화는 계속 진행
합의한 마을부터 20일 전후 재개
물리적충돌 우려…주민 설득 관건

한전 “지중화 불가능”입장 여전
보상협의·대화는 계속 진행




한국전력의 밀양 송전탑 공사가 다시 시작된다. 지난해 9월 24일 이후 8개월 만이다.

15일 한전에 따르면 20일 전후로 밀양 송전탑 공사를 다시 시작하겠다는 내부 방침을 확정했다. 당초 4월 말이었던 공사 재개 시점은 15일로 옮겨졌다가 재차 20일 전후로 옮겨진 것. 현재는 공사를 반대하는 주민들과의 마찰 등을 고려해 공사 인력의 안전 확보 등 대책을 수립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현재 송전탑 공사 현장 진입로는 반대 주민들이 점거한 상태다. 공사가 강행될 경우 시작 당일부터 물리적 충돌이 일어날 가능성이 크다.

▶올 겨울만큼은 전력난 막자=이번 공사 재개는 올 겨울에는 반드시 전력난을 막아야 한다는 절박감이 배경이다. 이미 전력 생산은 준비가 된 상태다. 올해 12월 신고리 3호기가 정상 가동되면 한층 안전된 전력 수급이 가능해진다. 하지만 송전선로가 밀양에서 뚝 끊기면 발전소는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 한전의 주장은 전기가 모자라는 상황에서 발전소는 있는데 송전선이 연결되지 않아 전 국민이 전력난을 겪을 수는 없지 않겠냐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전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신고리 원전에서 경남 창녕군 북경남 변전소에 이르는 90.5㎞ 구간에 765㎸(76만5000볼트)급 송전 설비를 설치해야 한다. 울주군, 기장군, 양산시, 밀양시, 창녕군 등 일대 5개 시ㆍ군에 철탑 161기를 세운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착공 후 공사는 11차례에 걸쳐 중단됐고 주민의 반대로 밀양 4개 면의 철탑 52개를 짓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전 고위 관계자는 “지금부터 공사를 재개해도 야간공사까지 강행해야 내년 초에나 송전탑 건설이 마무리 될 수 있다”며 “이미 주민들과의 대화는 할 만큼 해서 한전으로서는 더 이상 제시할 카드도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조환익 한전 사장은 지난 2일 밀양시 상동면의 가르멜 수녀원을 방문하는 등 반대 측 주민들 설득을 위해 최근 들어 7차례 밀양 현지를 방문했다. 이런 노력으로 지난해 1월 송전탑 건설에 반대하는 주민 이치우(당시 74세) 씨가 분신해 사망하는 등 주민과 한전 사이의 갈등이 정점에 달했던 때에 비하면 상당수 주민들이 송전탑 건설에 우호적으로 마음을 돌리기도 했다는 분석이다.

▶밀양 송전탑 남은 쟁점은=반대 주민들은 한전의 보상이 아니라 송전선로의 지중화를 요구하고 있지만 한전은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한전 관계자는 “765㎸ 송전선로의 지중화는 현재 전 세계 어디에서도 관련 기술이 개발돼 있지 않아 불가능하다”며 “765㎸ 고압송전선로 대신 345㎸로 전압을 변환해 지중화하는 방안도 있지만, 그럴 경우 밀양의 시작과 끝인 단장면과 부북면에 765㎸ 변전소 2곳을 추가로 건설하는 등 오랜 건설 기간과 천문학적 규모의 공사비가 소요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주민들은 고압송전선로가 마을을 관통하면 발암가능물질이 생성돼 건강권에 직접적인 침해를 받는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난 2003년 세계보건기구(WHO)가 고압송전선로의 전자파에 의한 발암물질 생성위험 경고를 근거로 한 것. 여기에 경관상 피해와 함께 높이 120m의 송전탑이 주는 심리적 위해도 상당하다는 주장이다.

반면 한전은 똑같이 WHO의 자료를 인용해 송전선로 전자계의 노출 여파로 암이 진전된다는 생체작용은 밝혀진 바 없다는 입장이다. 전자파 주파수가 300㎐ 이하여서 유전자를 손상시킬 만한 에너지가 없다는 설명이다.

윤정식 기자/yj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