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헤럴드 포럼 - 양정환> 다운로드냐 스트리밍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스마트폰 등장 이후…렌털형 음원서비스에 집중
가수 음악마저 일회용 전락…상품가격 심도있게 책정을


요즘 음악 서비스 가격 인상에 관한 기사가 많이 나오고 있다. 사용료 징수 규정 개정을 앞두고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듣는 세미나ㆍ공청회에서 논의된 사항들이 알려지면서 음악 서비스의 소비자가격 급등을 우려하는 내용들이다.

사실 소비자 입장에서 소비자가격이 올라간다는 것을 반길 사람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나라 음악 가격이 전 세계에서 가장 싼 나라에 속한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가격 인상의 필요성과 명분에 대해 반대를 주장하기는 쉽지 않다고 본다.

그렇다면 어떤 기준에서 적합한 가격을 정해야 할까.

현재 음악 서비스는 크게 렌털형 상품과 소유형 상품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렌털형 상품이란 스트리밍 서비스와 기간제 서비스와 같이 말 그대로 음원을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200만여 곡의 라이브러리에서 음악을 원하는 대로 듣기만 하는 서비스이고, 소유형 서비스는 mp3 파일 등의 형태로 다운로드 받는 형태다. 스마트폰 등장 전까지만 해도 다운로드 형태의 소유형 상품이 국내 음원시장을 주도했으나, 스마트폰의 등장 이후 앱만 설치하면 200여만곡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렌털형 서비스 주도 시장으로 변화하고 있다.

단지 그 속도가 너무도 빠르다는 의미는 소유형 서비스와 렌털형 서비스의 가격 불균형에서 기인한다. 무엇인가를 소유한다는 것과 빌려서 이용한다는 것은 우리 일상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개념인데, 빌려서 이용하는 비용이 너무 저렴하게 책정되면 그 상품을 구매하려는 욕구가 떨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구매가격과 렌털가격의 적절한 균형이 이뤄져야 안정적인 시장 성장이 가능해진다.

음악을 만드는 사람들은 자신들의 창작물이 적절한 가격에 판매돼 창작 의지가 보호되기를 희망하고, 일회용으로 전락되기를 원치 않는다. 렌털형 서비스가 이용자들에게 주는 편의성은 긍정적이기는 하지만 무제한이란 서비스 형태로 인해 음악이 이용되는 주기를 단축시킨다. 이러한 사용자의 이용 패턴 변화로 인해 가수들이 음악을 발표하는 주기 또한 단축돼 점점 음악이 일회용으로 전락하는 현실은 렌털형 서비스의 폐해라고 볼 수밖에 없다.

여전히 해외에서는 CD든 mp3 파일이든 구매 형태가 음악시장의 절대적 중심을 차지하고 있고, 렌털형 서비스들은 이를 받쳐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처럼 렌털형 음악 서비스가 주도하는 시장은 상당히 비정상적이다. 이를 바로잡아야 현재 국내 음악시장이 가지고 있는 폐해를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시장 성장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선 음악 서비스 가격을 얼마나 인상할 것인가보다는 렌털형 상품의 가격을 소유형 상품 가격 대비 어느 정도로 책정할 것인가를 심도 있게 고려해야 한다. 결국 소비자들로 하여금 음악을 빌려서 듣기보다는 구매해 듣고 싶게끔 만드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고 본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