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원전 추가건설, 안전성 확보가 관건이다
신규 원자력발전소 건설후보지로 강원 삼척과 경북 영덕 등 두 곳이 선정됐다. 내년 상반기까지 사전 환경성 검토와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내년 말까지 건설지로 최종 확정된다. 원전 용지로 확정되면 곧바로 환경영향평가를 거쳐 한 곳당 최대 140만㎾짜리 원전 4기씩을 2024년까지 완공한다는 계획이다. 한국수력원자력은 당초 올해 6월 말 후보지를 발표할 계획이었으나 지난 3월 발생한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여파로 원전 확대 여론이 악화하자 발표를 미뤄 왔다. 용지 선정을 더 늦추면 내년 말까지는 최종 입지를 확정한다는 정부 계획에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보고 연내 발표를 강행한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9·15 정전사태로 장기적인 전력난을 우려, 원전 확대 정책을 견지하고 있다. 그러나 시민단체와 야당이 안전을 이유로 정치쟁점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난항이 불가피하다. 최근 여름과 겨울철마다 전력수요 관리에 비상이 걸린 상태에서 전력수급을 원활히 하기 위한 원전 건설은 기로에 선 셈이다. 원전 건설 문제는 원전이 아니더라도 대안이 있으면 그 대안을 채택하면 된다. 아니면 안전을 담보로 건설할 수밖에 없는 문제다. 선택의 문제이지, 일방적 포기의 문제일 수 없다는 데 현실적 고민이 담겨 있다.
환경단체는 완전 포기를 주장하지만 원활한 전력수급을 뒷받침하는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그러나 그렇게 못하는 게 실정이다. 태양광, 풍력, 조력 등 친환경 재생에너지는 발전단가가 엄청 높아 경제성 문제로 아직 상업화 단계에 있지 못하다. 대안 없이 반대만 한다면 전력난을 감수하거나 엄청나게 비싼 전기료를 감당할 수밖에 없다. 원전은 후쿠시마 사태와 같은 최악의 천재지변만 아니면 안전하다. 설계건설과 평소 관리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현재 국내 원전 설계기술과 관리능력만으로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다는 게 전문가 주장이다.
우리 원전은 지난 1978년 고리원전 1호기 가동 이후 잔 고장을 여러 번 겪었지만 방사능 누출을 포함, 크고 작은 사고를 일으킨 적은 단 한 차례도 없었다. 그러나 이번 한수원 발표 신규 원전 건설 계획안에는 안전대책이 후쿠시마 사태 이전과 크게 다르지 않아 다소 실망스럽긴 하다. 반대를 극복할 수 있는 완벽한 보완책을 강구해야 한다. 무엇보다 경제성과 안전성 등 철저한 분석과 과학적 근거를 토대로 원전 프로젝트가 원만한 합의하에 이뤄지길 기대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