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국 서비스산업 고용비중 美 40년전 수준”
우리나라 서비스산업의 고용비중이 미국은 물론 G7 국가와도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 서비스산업 연구개발(R&D) 강화와 규제완화 등 다각적인 지원책을 통한 고용확대 방안이 절실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원장 이경태)은 15일 ‘우리나라와 주요 선진국의 서비스산업 고용 비교’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의 서비스산업 고용비중은 2008년 현재 67.3%로 미국(81.6%ㆍ2007년)과 14.3%포인트 차이를 보였고, G7국가 평균보다도 7.6%포인트 낮게 나타났다.

서비스산업 선도 국가인 미국은 1979년에 제조업 고용인원이 최고치에 달한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한 반면 서비스 고용비중은 1970년대 후반에 70%를 돌파하는 등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 제조업 고용비중은 1989년에 정점(28.7%)에 도달한 후 하락세에 접어든 반면 서비스 비중은 2000년 60%를 돌파한데 이어 2008년에 비로소 70%대에 가깝게 다가섰다.

고용비중을 분야별로 살펴보면, 고급 일자리라고 할 수 있는 지식서비스산업의 고용비중은 우리나라가 30.8%(2009년)에 불과해 미국보다 3.3%포인트 낮았다.

그 가운데 보건복지 및 사업서비스 분야에서 미국보다 각각 6.1%포인트, 3.5%포인트 낮은 비중을 보였는데, 이 중 전문가ㆍ과학ㆍ기술서비스 고용비중이 미국보다 현저히 낮았다.

전문가 중 변호사 및 감정평가사의 1인당 인구수는 우리나라가 미국에 비해 각각 22.0배와 7.7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나 해당분야의 전문 인력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우리나라는 교육서비스 고용비중이 미국보다 3.5배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사교육분야인 학원교사의 비중에서 우리나라가 미국에 비해 3.9배나 높은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서비스산업의 선진화 및 고용확대를 위해 우선적으로 서비스산업에 대한 인식전환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무역연구원의 박진우 연구원은 “현재 우리 서비스산업은 고용비중뿐만 아니라 부가가치 비중에서도 선진국 수준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다”며 “과거에는 제조업이 발달한 곳에 서비스산업이 따라 갔으나 이제는 서비스 산업이 발달된 곳으로 제조업이 따라간다는 인식이 있는 만큼, 서비스 R&D 투자확대를 통해 서비스산업 경쟁력을 높이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영상 기자 @yscafezz>
ys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