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인터;뷰] 김희원, 끝없는 고민으로 완수한 ‘신의 한 수: 귀수편’
이미지중앙

사진=CJ엔터테인먼트 제공



[헤럴드경제 스타&컬처팀=장수정 기자] 무거운 영화에 유쾌함을 불어넣는 감초부터 섬뜩한 연기로 긴장감을 불어넣는 악역까지, 김희원은 캐릭터와 작품을 가리지 않고 종횡무진 활약 중이다.

‘신의 한 수: 귀수편’에서는 특유의 능글능글한 매력이 돋보이는 관전 바둑의 대가 똥 선생 역을 맡아 무거운 영화에 유쾌한 활력을 불어넣는다. 그러나 김희원은 주인공 옆에서 웃음을 주는 ‘뻔한’ 조연이 되지 않기 위해 고민을 거듭했다.

치열한 그의 고민 덕분에 똥 선생은 묵직한 ‘신의 한 수: 귀수편’에서 과하지도 덜 하지도 않은, 적절한 웃음을 주며 영화의 완급을 완벽하게 조절해 낸다.
▲ 처음에는 ‘신의 한 수: 귀수편’을 거절했다고. 어떤 부분에서 고민이 있었나?

“처음 대본에서 똥 선생은 누가 봐도 감초 역할이었다. 다른 캐릭터들은 너무 강렬했는데, 똥 선생은 대사도 코믹하고, 무거운 영화에 살짝 가벼움을 가미하는 전형적인 역할이었다. 그래서 별로 하기가 싫었다. 감독님에게 이야기를 했다. 그랬더니 ‘그런 것 생각하지 말고 진지하게만 해 달라’라고 하시더라. 막상 나까지 진지하면 영화가 너무 무거울 수 있어서 적정선을 지키며 웃기는 게 필요했다”

▲ 유쾌함과 진지함 사이, ‘적정선’을 지키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나?

“기존의 주인공 옆에 있는 전형적인 캐릭터가 되지 않기 위해 고민했다. 귀수와 너무 친해지지 않으려고 했다. 같이 다닌다고 해서 꼭 친해져야 할 필요도 없고, 복수를 도와줄 필요도 없지 않나. 똥 선생은 돈만 벌면 되는 캐릭터라고 생각했다. 정이 들어서 괜히 귀수를 도와주는 신파는 유치해서 하고 싶지 않았다. 우리가 살면서 ‘브로맨스’를 얼마나 진하게 경험하나. 각자 먹고 살기가 바쁜데. 그런 걸 괜히 강조하면 오히려 부자연스럽다. 친구 사이에도 결정적일 때 배반을 할 수 있다. 권상우와 나의 ‘케미스트리’는 나중에 관객들이 판단해 줄 몫이었다”

이미지중앙

사진=CJ엔터테인먼트 제공


▲ 파마머리와 스카프, 똥 선생 캐릭터에 안성맞춤이었다. 소품들을 선택할 때는 어떤 고민들을 했나?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자고 마음 먹었다. 여태까지 파마는 안 해본 것 같아 파마머리로 선택했다. 내가 어릴 때는 남자가 파마를 하면 그 자체로 이수였다. 어느 남자 배우가 파마를 하고 CF를 찍어서 ‘미스터 파마’라는 말을 들을 정도였다. 그 정도 쯤의 시대를 그리니 파마머리를 하면 똥 선생이 특이한 사람처럼 보일 것 같았다. 또 옛날에는 꼭 스카프로 멋을 냈다. 어린이대공원 같은 데 가면 큰 카라 남방에 버버리를 어깨나 팔에 걸친다. 그때 스카프가 휘날리면 만화 같은 한 컷이 될 것 같았다”

▲ 유선과의 멜로도 새로웠다. 분량이 너무 짧았는데, 아쉬움은 없었나?

“선택할 때 ‘멜로도 있네?’라는 마음도 작용했다. 분량이 적어서 아주 많이 아쉽다. 유선 씨와 3, 4신정도는 더 있었으면 좋겠다는 이야기도 했다. 편집이 된 신도 있어 아쉬웠다. 봉고차를 빌려달라고 하는 신도 있었고, ‘우리 사이가 무슨 사이인데요?’ 이러면서 아기자기하게 대화하는 신도 있었다”

▲ 본격적인 멜로를 연기해보고 싶은 욕심도 있나?

“하고 싶다. 잘 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래도 ‘가짜’ 멜로는 하고 싶지 않다. 현실적인 감정이 담긴 멜로를 하고 싶다. 현실에서 사랑이 아름답지 않은 경우가 많다. 그러면서 사랑에 대한 희망은 주는, 그런 작품을 하고 싶다”

이미지중앙

사진=CJ엔터테인먼트 제공


▲ 신파를 지양하는 편인 것 같다. 작품 선택 기준이 되나?

“염두에는 두지만, 관객 분들이 어느 정도는 신파가 있고, 유치한 걸 원할 때도 있다. 어느 날은 영화를 볼 때 판타지를 경험하고 싶어 하기도 한다. 쾌감을 느끼려고 영화를 보기도 하지만, 가끔은 다 같이 한 번 쫙 우는 이입이 필요하기도 한다. 어느 정도는 있어야 한다. 다만 그게 너무 도를 넘으면, 신파가 되고 오버가 된다. 그러면 이입을 못 한다”

▲ 그렇다면 김희원의 작품 선택 기준은 무엇인가?

“관객들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지, 없는지를 본다. 관객들의 마음은 다양하게 움직일 수 있다. 웃음으로 움직일 수도 있고, ‘신의 한 수: 귀수편’처럼 시원하게 움직일 수도 있다. 영화를 통해 예술을 하고 철학을 담으려는 사람도 있다. 나는 많은 사람들의 애환을 이야기하는 게 좋다. 철학을 느끼는 것도 관객들의 몫이다. 영화는 종합예술이다. 나 혼자 하는 게 아니다. 내 앞, 뒤 장면에 어떤 장면을 붙이는지는 감독의 몫이다. 그렇더라도 최종적으로는 관객이 결정한다. 나는 연기라는 내 일을 하고 있다”

▲ ‘가늘고 길게’를 가치로 둔 똥 선생, 김희원과 유사한 부분이 있나?

“딱 나다. 가늘고 길게. 송해 선생님처럼 나는 그 나이에도 건강을 지키면서 연기할 수 있었으면 한다. 클린트 이스트 우드는 90세가 넘어도 활동을 하고 계신다. 나도 그때 까지 멋지게 연기할 수 있었으면 한다”

cultur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