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K-중국 강력한 유대관계, 미국과 동맹국에 경종 울리는 사안”
“고려아연 해외 매각 시 국가기간산업 미래에 악영향” 우려도
미국 싱크탱크 SAFE의 SNS 입장 갈무리 [고려아연 제공] |
[헤럴드경제=양대근 기자] 미국 에너지·안보 분야 대표적인 싱크탱크인 SAFE가 영풍과 MBK파트너스(이하 MBK)의 고려아연에 대한 공개매수 시도와 관련 ‘적대적 인수 시도(hostile takeover attempt)’로 규정하면서 이번 사태가 글로벌 핵심광물 공급망에 끼칠 악영향에 우려를 표했다.
27일 고려아연에 따르면 SAFE는 최근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채널을 통해 “중국의 지원을 받는 사모펀드 MBK가 세계 최대의 아연 제련 기업이자 배터리 필수 소재를 생산하는 고려아연에 대한 적대적 인수 시도를 시작했다”며 “MBK와 중국과의 강력한 유대 관계는 미국과 동맹국들에게 경종을 울리는 사안이다”고 크게 우려했다고 전했다
SAFE는 경제·안보 측면에서 미국의 에너지 관련 제반 정책 건의를 담당하며, 미국 국무부가 주도하는 탈중국 공급망 구축을 위한 다자협력체인 ‘핵심광물안보파트너십(MSP)의 실질적 사무국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한국은 지난 7월부터 미국에 이어 MSP의 의장국을 수임하고 있다.
SAFE는 “MBK의 이번 적대적 M&A가 현재 중국 제련소들이 직면한 공급 재고 부족으로 인해 중국의 정제 아연 수입이 증가한 시기와 맞물린다”고 보고 있다.
고려아연은 아연뿐 아니라 니켈제련 기술 또한 보유하고 있으며, 배터리, 반도체 등 첨단산업 소재 생산에 필요한 기타 핵심광물에도 적용할 수 있는 핵심 역량이다.
이와 관련 SAFE 측은 “이번 고려아연 인수 시도는 중국이 아연에 그치지 않고, 여러 핵심광물의 글로벌 공급망까지 장악하려는 움직임”이라고 분석했다.
현재 중국은 전 세계 정제 아연의 절반 이상을 공급하고, 2차전지 음극재 생산에 필요한 흑연 공급망도 90%를 점하는 상황이다. 2차전지 양극재 생산에 필요한 니켈의 경우 인도네시아 투자를 통해 원료를 값싸게 들여와 가격경쟁력을 확보, 글로벌 전구체 시장의 90%를 독점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원료국들의 원광수출금지정책 움직임이 강화되면서 장기적 관점에서 값싼 소싱 대신 기술력 확보에 눈을 돌리고 있다.
고려아연은 50년 동안 아연·동 등 10여 종의 비철금속을 연간 120만 톤 생산하며 글로벌 최고 수준의 독자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와 관련 국내외 업계 안팎에서 “MBK가 고려아연을 중국 등 해외에 매각할 경우 핵심광물 공급망 차원에서 배터리·반도체 등 국가기간산업의 미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지속해서 나오는 상황이다.
한편 고려아연은 지난 24일 정부에 당사가 보유한 이차전지 소재인 ‘하이니켈 전구체 가공 특허 기술’이 국가핵심기술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정을 신청했다. 해당 기술이 국가핵심기술로 판정될 경우 경제안보상 이유로 정부가 외국기업에 의한 인수합병을 승인할 권한을 갖게 된다.
고려아연 온산제련소 전경 [고려아연 제공] |
bigroot@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