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작가들이 그린 자화상>숨 막히는 사회 탈주…야만성 회복을 꿈꾸다
권여현

프로이트가 ‘Uncanny’라는 단어를 만들었을 때를 생각해본다. 그가 우연히 거울을 보게 되었는데 그곳에는 어떤 초라한 중늙은이가 서 있었다고 한다. ‘익숙하지만 낯선’이란 심리학적 용어는 그렇게 탄생했다.

어느덧 얼굴에 책임질 나이가 되니 나도 다시금 거울을 보며 프로이트를 떠올린다. 10대와 20대 모습이 아직도 전체 윤곽을 구성하고, 그 위에 주름이 좀 늘었을 거라는 희망은 완벽하게 사라지고 ‘내가 아닌 내’가 거울 속에 서 있다. 기억의 영사기는 과거의 얼굴들을 나이별로, 사건별로 파편처럼 보여준다.

개별적으로 보이는 단편 그림이나 사진을 이미지(Image)라 부른다면, 일관성 있는 심상(心象)의 상징은 이마고(Imago)다. 나는 이마고(Imago)로서의 나의 얼굴을 많이 표현해왔다. 주로 개인과 만인의 관계를 규정한 그림을 통해 한 사람의 자아가 어떻게 형성되고, 어떻게 활동하는지를 고민해온 것이다.

초창기의 나의 그림은 개인의 내면 표현이었다면, 최근의 작업은 사회에 반영된 모습으로서의 얼굴과 표정에 관한 것이다. 처음엔 이 세상에 (나의 의지와는 전혀 상관없이) 던져진 인간을 표현했고, 곧이어 이 세계에 던져짐을 인정하는 세계 내 존재로 그려진 자화상은 지금은 거울상을 통과해 사회의 구조 속에 구속된 모습으로 표현된다.

신작 ‘헬로 들뢰즈 씨’. 낯익은 이미지를 낯설고 모호하게 만든 작품.

자화상은 내가 본 나의 모습이기보다는 타인이 본 내 모습, 즉 타인의 타인이다. 나는 내 얼굴을 볼 수 없다. 나는 나르키소스(Narcissos)가 아니다. 그래서 내 얼굴은 타인의 것이다. 그러나 표정은 내 것이다.

나는 소통의 미학이 싫다. 정보 전달로서의 미술은 더 이상 문학이나 매스미디어의 정교성을 극복할 수 없다. 미술가가 만든 작업은 비평과 저널, 인터넷 정보의 다양한 분석 도구에 해체당하는 순간, 작가는 더는 아우라(The Aura)를 창출하는 직업군이 아니다. 왜 이 사회는 좀 신비하고, 느슨하고, 생략된 것들에 관대하지 못할까. 숨이 막히는 세련된 사회를 탈주해 나는 나에게 계몽 이전으로 돌아가길 권한다. 그리고 야만성의 회복을 위해 사이버 세계에서 구현되는 매트릭스(Matrix)의 가상 현실(시뮬라시옹ㆍSimulation)을 그림의 장에서 구현하길 권한다. 

데뷔 초부터 줄곧 인물상을 집중적으로 그려온 권여현 작가의 자화상 ‘부유자아 113’. 숨 막힐 정도로 꽉 짜인 현대사회를 탈주해 계몽 이전의 원시적 삶으로 돌아가길 희구하는 작가는 벌거벗은 몸으로 달리는 스스로를 강렬한 필치로 그렸다.

비록 나의 얼굴은 타인의 것으로 양도하지만, 나의 표정만은 이성의 세계를 마음껏 농락하고 감각의 세계로 타인을 이끌 수 있다. 나의 소통 방법은 역설적으로 본질을 흐트러뜨리고 소통을 교란시키는 것이다.

사실은 나는 리얼리티를 추구한다. 그리고 나는 나의 얼굴을 보고 싶다. 나의 리얼리티는 매일 만나는 학생들과 생각놀이로서의 미술활동이다. 내가 나의 얼굴을 볼 수 없는 것은 시시프스가 굴러떨어질 것을 알면서도 바위를 산꼭대기로 굴려야 하는 것과 같다. 나의 얼굴을 내가 볼 수 있을 때까지 내 얼굴을 봐주는 사람들과 매끄러운 길을 동행하고 싶다.
 
[글ㆍ그림=권여현(미술가]


▶작가 권여현은 서울대 회화과 재학(1984년) 중 창작미협 공모전 대상, 1986년과 90년 동아미술상과 중앙미술대전 우수상, 91년 석남미술상을 수상하며 화려하게 데뷔했다. 88년 첫 개인전 이래 매년 개인전을 여는 등 열정적으로 작업하는 그의 주제는 ‘인간’이다. 무엇보다 스스로를 성찰하며 그림을 그린다. 

한 개체가 세상에 내던져졌다는 입장에서 시작되는 권여현의 그림은 자신을 주인공 삼아 나르키소스가 자신을 보듯 여러 심리적 초상으로 다각도로 표현된다. 최근에는 외부 환경과 공간을 화면에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조형실험을 더욱 입체적으로 추구하고 있다. 때로 권여현에게 조형은 주제를 압도하며 화면을 매우 풍부하게 한다. 퍼포먼스, 사진, 콜라주, 설치 등의 분야도 종횡무진 누비고 있다. 현재 국민대 미술학부 교수.

이영란 기자 /yrlee@heraldcorp.com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