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메멘토 모리의 사회학....대한민국은 추모 열풍!
대체로 죽음의 인상은 쓰디쓰다. ‘죽음을 기억하라’는 뜻의 라틴어인 ‘메멘토 모리’는, 예술에서 주로 인생의 유한성을 통렬한 시각적 이미지로 일깨워주는 코드를 설명하는 데 쓰인다. ‘개똥 밭에 굴러도 이승이 낫다’는 우리 속담에는 삶에 대한 인간의 강한 집착과, 알 수 없는 죽음 너머에 대한 두려움이 담겨 있다.

그러나 조금은 다른 ‘죽음 기억하기’도 있다. 산 자에게 두려움이나 혐오, 경각의 대상으로서가 아닌 위로와 희망이 되는 죽음을 재생산하기다. 요사이 그러한 ‘죽음 기억하기’가 우리 사회에 크게 번지고 있다.

아프리카 수단의 톤즈에서 의료봉사와 선교자로 살다 간 이태석 신부를 다룬 영화 ‘울지 마 톤즈’가 조용한 흥행몰이를 하며 40만 관객을 돌파했다. 상업영화가 아닌, 소규모 개봉으로 시작한 다큐멘터리로서는 이례적이다. 손수 벽돌을 구워 병원을 짓고, 아이들의 미래를 위해 학교를 꾸려나가는 모습, 가장 키가 크고 눈물 보이는 것을 수치로 생각하는 딩카족 주민들이 그의 영정을 들고 음악을 연주하며 행진하는 모습은 진정한 사랑과 소통에 대해 숙연히 돌아보게 한다.

고(故) 김수환 추기경의 삶을 재조명하는 물결도 선종(善終) 2주기를 맞아 거세다. 선종 당시 교파를 떠나 전 사회적인 추모 분위기를 이끈 그의 삶은 영화와 연극으로 재생되며 많은 이에게 더불어 사는 삶, 나누는 삶의 표상으로 여전히 큰 울림을 준다.

울림 가득한 가사를 절절한 목소리에 담아내 애틋한 사랑을 받아온 가수 고(故) 김광석은 15주기를 맞은 올해 더욱 추모 열기가 뜨겁다. 지난해 전국 5개 도시에 이어 지난 12일 이화여대에서 열린 ‘김광석 다시 부르기’ 콘서트는 원주 등 전국적으로 이어진다. 영혼을 울리는 그의 목소리는 요즘 판에 박은 가사와 현란한 몸짓으로 음악의 본질과는 멀어지는 세태에 대한 반작용이다.

서민들의 애환을 특별한 유머로 들려준 소설가 박완서의 작품들은 낭독 공연으로 대학로에서 다시 만날 수 있으며, 이달 말로 입적(入寂) 1주기를 맞는, 우리 사회 무소유 열풍을 일으킨 법정 스님이 기거했던 불일암, 길상사 등에는 상처 입은 마음의 치유를 원하는 이들의 발길이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죽음을 넘어 산 자들을 위로하는 이들 고인의 공통된 덕목은 인간적인 따뜻함과 소탈함, 나눔. 자신의 삶 자체로 다른 삶을 조건 없이 껴안거나 문학과 예술로 온기를 전해준 이들이다.

이런 추모 열기에 대해 사회학자들은 팍팍한 현실과 믿고 따를 만한 리더십의 부재에 대한 반작용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현택수 고려대 교수(사회학)는 “고인들은 높은 사회적 지위나 명망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스스로 낮춘 삶을 산 분들”이라며 “변치 않을 가치를 지닌, 존경할 만한 롤모델이 적은 상황에서 몇 남지 않은 분들이 하나둘 서거함에 따라 그간 우리 사회에 부족했으나 지향해야 할 가치와 정신을 기리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또 한편으론 우리 사회 아픔과 상처들이 고인들에 투사돼 자기치유화의 과정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그러나 무조건적이고 지나친 미화는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지나친 미화보다는 고인의 실수 등 인간적인 면모도 함께 받아들이며 자연스럽게 흘러가도록 하는 게 오히려 더 폭넓은 공감을 형성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임희윤 기자 @limisglue>
imi@heraldcorp.com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