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지정학적 주요 전략국
이슬람세력으로 정권교체땐
영향력 상실 ‘최악 상황’
중동 외교의 핵인 이집트 친미 정권이 흔들리면서 미국은 깊은 고민에 빠졌다.
호스니 무바라크 이집트 대통령은 집권 30년간 친미 친이스라엘 정책을 견지하면서 미국의 팔레스타인 평화 정책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무바라크 정권은 팔레스타인의 무장단체인 하마스를 견제하고 중동의 반미 테러단체들을 억제하는 데 큰 역할을 해왔다. 또 이집트는 수에즈 운하라는 중동의 전략적 요충 시설도 갖고 있다. 때문에 미국은 그동안 독재자 지원이라는 비난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규모인 연간 20억달러 원조를 지원하며 물심양면으로 무바라크 정권을 후원해왔다.
하지만 반정부 시위가 이미 시민혁명 단계로 접어든 것으로 보이면서 백악관과 국무부는 다급해졌다.
29일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조 바이든 부통령 등 안보 관련 대책회의를 가졌지만, 백악관 공식 성명에서는 무바라크 퇴진 언급은 없었다. 이집트의 인권 보호와 정치 개혁을 촉구하는 선에 그쳤다.
백악관이 현 단계에서 무바라크의 퇴진을 공개 촉구하지 않는 것은 무바라크가 이 위기를 넘겨 미국에 적대적이지 않은 후임자에게 정권을 넘겨주고 자연스럽게 퇴임하는 게 최선의 시나리오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이 가장 우려하는 최악의 시나리오는 과거 이란혁명처럼 시민혁명으로 무바라크가 축출되고 이슬람 정권이 들어설 경우이다. 이럴 경우 미국은 이란 못지않게 군사력과 지정학적 입지상 주요 전략 국가인 이집트에서 급작스럽게 영향력을 상실하는 우려할 만한 상황에 직면한다.
미국의 팔레스타인 평화 정착도 어려워지고 이스라엘과 여타 이슬람국가와의 갈등에 중재자가 사라지게 된다.
하지만 하루가 다르게 확산되는 시위대의 물결 속에서 미국이 자국의 이익을 지켜낼 대안을 찾기는 힘든 상황이다. 무바라크가 그나마 안팎의 개혁 요구에 밀려 내놓은 부총리와 총리 인사도 부자 세습 포기 의사를 보여주긴 했지만 전혀 시위를 진정시키지 못하면서 미국은 플랜 B를 고려해야 하는 상황에 몰리고 있다.
일단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은 30일 CNN방송과 폭스뉴스 등에 출연, 무바라크 대통령이 부통령과 총리를 새로 임명한 것이 이집트의 위기를 진정시키는데 충분치 않다고 밝히면서 미국이 그동안 이집트의 민주화 경제 개혁을 요구해온 점을 강조했다. 최악의 경우 시민혁명이 일어나도 반미감정 확산은 막아보자는 전략이다.
고지희 기자/jgo@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