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취급기관에 풀린 유동성이 약 2000조원에 달해 자산가격과 물가 불안을 부추긴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2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예금취급기관의 유동성은 지난해 11월 현재 1982조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약 7년만에 두배가 커진 것으로, 명목 국내총생산(GDP)이 같은 기간 50% 정도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금융의 덩치가 실물보다 2배 빨리 불어난 셈이다.
한은 관계자는 “금융위기 때 풀린 유동성이 워낙 많아 여전히 규모가 큰 상황”이라며 “지나친 유동성은 물가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단기 유동성 비중도 커지고 있다.
단기 유동성 지표로 여겨지는 협의통화(M1)가 광의통화(M2)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11월 24.8%로 2007년 8월의 25.0% 이후 3년 3개월만에 가장 높았다.
한은 관계자는 “근본적으로 금리가 정상수준보다 낮은 데서 비롯한 현상”이라며 “단기 유동성은 주식과 부동산 등 자산시장의 기회를 엿보다가 단번에 쏠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일각에서는 한은이 국내로 유입된 외화자금을 흡수하는 대신 시중에 풀린 유동성을 다시 거둬들이는 ‘불태화 정책’에 소극적이어서 유동성을 키웠다는 지적도 있다. 불태화 정책에 쓰이는 통화안정증권 발행 잔액이 다소 감소했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대해 한은은 금융위기 당시 유동성을 덜 회수하려고 통안증권 발행을 줄인 결과 최근 차환 발행 물량도 감소한 것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신창훈 기자 @1chunsim>
chunsim@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