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백신접종에도 피해 눈덩이 … 방역당국 비난 봇물
구제역이 장기화 양상을 보이면서 방역 당국과 지자체에 대한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혹한 속 한달이 넘게 방역작업을 벌이는 노고에도 불구하고, 구제역이 오히려 확산되면서 방역당국의 의사결정과 대처가 적절치 못했다는 비판이다.

특히 최근 구제역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면서 방역당국의 역할론 자체에 대해 문제제기가 이어지고 있다.

정상적인 상황이라면 양성판정 결과를 기반으로 역학조사를 실시해 향후 발생가능 지역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방역 당국의 역할이다. 하지만 110건이 넘게 구제역이 발생하면 이미 역학관계의 추적은 무의미하다. 방역당국이 차단방역보다는 사후처리에만 집중했다는 비난받는 이유다.

특히 이과정에서 정밀한 판단 없이 소들을 파묻는데 급급하면서 매몰지 침출수와 악취 등 2차 피해에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실제로 경기도 파주시, 경북 영천 등에서는 매몰지의 침출수가 유출되어 인근의 도로나 시설로 흘러드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다.

지난달 24일부터 시작된 백신 접종의 효과가 제대로 나타나고 않다는 점도 지적 대상이다.

백신은 약 2간의 잠복기간을 거쳐 항체형성과 함께 효과를 발휘한다. 정부 계획대로 였다면 이번주 부터는 구제역의 의심신고와 발생이 줄어들었어야 한다. 하지만 이번주 들어서도 구제역은 10건이상 발생하면서 기세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충청도로 확산 양상과 함께 오히려 잠잠해져야 할 강원도와 경북도에서도 추가 발생이 이어졌다. 백신 접종으로 오히려 일간 의심신고와 살처분 건수만 3배 이상 늘어나는 등의 모습도 나타난다.

전국단위축산단체 고위 관계자는 “상대적으로 집적도가 높은 우리의 축산현실을 감안했을때 특정지역만 접종하는 ‘링백신’은 적합하지 않았다”면서 “애초에 전국단위의 접종을 실시했어야 한다”고 비판했다.

첫 접종시기 자체가 너무 늦었다는 점이나 최초 접종 대상을 소로 제한한 것도 결과적으로 ‘악수’가 됐다.

전염력이 소의 3000배인 돼지에서 이미 10건이상이 확진된 상황에서도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것이 추가확산의 빌미로 작용했다는 평가다.

방역 자체도 여전히 허술하다는 평가다. 경기의 모 지자체는 당초 지난달 27일에 헬기를 이용한 항공방제를 실시하려다, 기온과 비용 문제로 이를 연기해, 지난 3일부터 실시했다. 약 10회나 실시했지만, 방제시기를 놓친 탓에 결국 인근 지역에서 구제역이 발생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설 연휴를 최대의 변수로 꼽고 있다. 인구 이동이 많은 설연휴 전에 뚜렷한 추세변화가 없으면, 영국과 대만 등 처럼 구제역이 반년이상 지속될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열흘에서 2주간은 의심신고가 접수되지 않아야 구제역이 소강상태로 접어든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면서 “백신접종의 효과가 내주까지 어떻게 나타나느냐가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홍승완 기자 @Redswanny>
swan@heraldcorp.com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